HOME > 연맹활동 > 보도자료
제목 | [보도자료 766호] 변액유니버셜보험, 17년 지나도 원금 못 건진다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작성자 | 관** | 등록일 | 2020.05.29 (09:20:50) | 조회수 | 2917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첨부파일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□ 금융소비자연맹(www.kfco.org, 이하 ‘금소연’, 회장 조연행)은 생명보험사가 판매 중인 238개 변액유니버셜보험 상품 수익률을 전수 조사한 결과, 2003년에 가입해 17년이 지난 상품의 해지환급금이 97.8%에 불과해 소비자들은‘변액유니버셜보험’을 투자형 상품이 아닌 일반사망을 보장하는 보장성 상품으로만 인식해야 한다고 밝혔다. 변액유니버셜보험(variable universal life insurance, VUL)의 연환산수익률은 2019년에는 –10.54%, 2018년 –6.49%로 납입보험료가 크게 줄어드는 손실을 보았고, 2003년 가입 후 현재까지 납입 원금을 넘어선 적이 없지만, 생보사는‘투자형 상품’으로 선전해 왔다. □ 2020년 3월 기준 18개 생명보험사가 판매 중인 변액유니버셜보험 상품 238개의 수익률을 전수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, 현재까지 납입원금을 쌓은 상품은 10개(4.2%) 상품으로 대부분의 상품(228개, 95.8%)은 납입원금도 까먹고 있었다. 2004년부터 2009년까지는 연평균수익률이 –0.10%에서 –0.87%대로, 2010년부터 2012년까지는 –1.29%에서 –1.90%대로 부진한 실적을 보이고, 2017년 -6.00%, 2018년 –6.49%대로 계속해서 매우 부진한 실적을 이어 갔다. 심지어 작년에 가입한 변액유니버셜보험은 매년 납입원금의 10% 이상을 손해 보는 것으로 조사됐다.
※ 생명보험협회 공시실 통계자료 참고 □ 생명보험사들이 판매하는 변액유니버셜보험 238개 상품 중 최고실적을 기록한 상품은 미래에셋생명이 2006년 판매한 무배당 우리아이사랑 변액유니버셜상품으로 현재 적립률은 106.8%이나 연환산수익률은 0.5%에 불과했다. 반면, 최저실적을 기록한 상품은 2017년 판매한 라이나생명의 THE투명한변액보험(적립형)이 59.6% 적립률을 기록했고, 2019년 판매한 KB생명의 KB골든라이프 ELS변액보험 연환산수익률이 -21.7%로 최악의 실적을 기록했다.
□ 금융소비자연맹 배홍 보험국장은“고수익 상품으로 고객이 자유롭게 수시입출금할 수 있다고 선전하며 판매한 변액유니버셜보험이 납입원금도 충당하지 못하는 저조한 실적을 기록하여 투자형 상품이라는 명칭이 무색해졌다”고 말했다.
● 이 보도자료는 금융소비자연맹 사이트(http://www.kfco.org)에 수록되어 있습니다. 끝 |